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비뇨생식기계

[자궁근종]자궁의 양성 종양

by Ameliajang 2022. 4. 14.
반응형

얼마 전 기사를 보았는데, 우리나라에 자궁근종의 환자 수가 부쩍 증가했으며, 연령별로는 40대 환자가 가장 많다는 조사과 나왔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그래서 자궁근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평활근 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 또는 평활 근종으로 불리는 것이 바로 자궁근종입니다. 전공책에는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와있습니다.

 

1. 원인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난소의 기능이 완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이 이후에는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에스트로겐에 의존한다고 생각됩니다. 

 

2. 분류

발생 위치에 따라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출처 :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1) 점막하근종 : 약 5%를 차지하며 자궁 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합니다.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고 육종성 변셩의 위험이 많으며, 육경을 형성할 경우 근종의 표면은 괴사, 출혈 및 감염이 되기 쉽습니다.

2) 근층내근종 : 자궁근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궁의 근육층에 발생하는 근종입니다. 

3) 장막하근종 :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며 고형성 난소 종양으로 오진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특히 임신 시 동반될 경우 종양 표면을 지나가는 혈관이 터져 다량의 출혈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3. 증상

주관적 증상 특성
덩어리 촉지(palpable mass) 하복부에서 덩어리 촉지 또는 하복부 팽만감
이상 자궁 출혈(abnormal uterine bleeding) - 월경 과다, 부정자궁출혈, 부정과다출혈
- 특히 점막하근종의 부정과다출혈
만성 골반통 하복부 중압감, 월경 곤란증 및 성교통
압박감 - 방광 압박 시 빈뇨, 배뇨곤란
- 직장 압박 시 약간의 변비 증상, 배변통
- 하대정맥, 장골정맥 압빅 시 하지의 부종과 정맥류
- 신경간(nerve trunk)압박 시 등이나 하지로 퍼지는 통증
기타 월경과다로 인해 혈색소가 15~20%정도 감소되어 빈혈 초래

4.  이차성 변형

1) 초지화 : 2차 변성 중 가장 흔하며 근종 자체의 혈액 공급장애로 발생된 것을 말하며, 절개한 단면은 근종의 소용돌이 형태 없이 조직이 균일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2) 낭포화 : 초자성 변성이 액화항 투명액 또는 젤라틴 같은 물질이 들어 있는 낭포를 형성한 것을 말합니다.

3) 석회화 : 근종이 혈액순환장애로 허혈성 괴사가 형성된 후 인산칼슘, 탄산칼슘 등이 근종에 침착하여 돌처럼 단단하게 변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감염과 화농 : 근종이 자궁강 내로 돌출하면서 자궁 내막이 얇아지거나 육경이 꼬여 괴사 된 조직에 연쇄상구균 등이 화농성 병변을 일으킵니다. 특히 점막하근종에서 가장 많이 발생됩니다.

5) 괴사 : 근종에 혈액공급장애, 심한 감염 또는 육경성 근종의 염전으로 발생하며, 근종의 내부에서부터 검붉은 출혈성 색채를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6) 지방화 : 진행된 초자화 변성에서 발생될 수 있지만 매우 드문 현상입니다.

7) 육종화 : 근종이 갑자기 커지거나 특히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던 여성이 폐경기 이후에 자궁출혈을 동반하면 육종성 병변을 의심하게 됩니다. 그러나 자궁근종의 육종성 변성은 아주 드문 현상입니다.

 

5. 근종과 임신과의 관계

자궁근종은 생식 기능에 방해를 주어 난임을 유발하거나 임신 1기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임신 2기에는 자궁근종에 혈액순환장애가 와서 괴사성 변셩의 일종인 적색 변성을 일으키게 됩니다. 임신 3기와 분만 시에는 출혈, 자궁 무력증, 드물게는 산도의 기계적 폐쇄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분만 후에는 자궁 이완으로 인한 산후 출혈과 자궁 내막염이 유발됩니다. 특히, 점막하근종은 착상을 방해하거나 초기 유산을 유발하며, 근종이 크면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여 자궁 내 성장지연과 분만 3기에 태반 박리를 방해하여 산후 출혈을 일으킵니다. 산후 발열, 백혈구 증가증, 압통 등이 있을 때는 진통제나 해열제를 줍니다.

 

6. 간호방법

자궁근종에 대한 치료는 정확한 진단에 기초해야 되며, 고식적 요법, 호르몬 요법 및 외과적 수술 요법이 있습니다.

1) 고식적 요법

근종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을 때는 6개월마다 정기 검진을 받으면서 관찰합니다. 폐경 무렵의 무증상 근종은 에스트로겐 분비 저하로 인해 근종의 크기가 감소되므로 수술을 서두르지 않습니다.

 

2) 호르몬 요법

GnRH 활성제를 사용하여 저 에스트로겐 현상을 유발한 후 자궁근종의 크기를 40~60% 감소시키는 치료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저용량으로 단기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내과질환으로 수술을 못하는 경우에는 medrosy progesterone acetate(depoprovera)를 매월 200mg씩 근육 주사하여 출혈을 방지하고 폐경기에 이르게 하여 자연 위축되도록 합니다.

 

3) 외과적 수술 요법

증상, 근종의 크기와 위치, 타 질환과의 합병 상태 및 연령과 출산력, 임신 상태, 임신의 희망 여부,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수술의 적응증은 처음 발견했을 때보다 크기가 커졌을 때(자궁 크기가 임신 12주 이상), 비정상적인 출혈로 인한 빈혈, 월경통이나 하복부 압박감 등의 만성통증, 근종의 육경성 염전으로 인한 급성통증, 폐경 전 근종의 급속한 증가, 폐경 후 자궁의 크기 증가로 육종성 변성 의심 시, 불임증의 원인, 커진 자궁에 의한 압박증상이나 불편감이 심할 때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