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비뇨생식기계7

[골반 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내부 생식기는 여성에게 중요한 장기이며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관리 및 질병에 대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에 산후관리 및 임신과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과 자가 간호를 통해 골반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1. 정의 골반 내 염증성 질환은 박테리아 혹은 드물게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자궁경 상부의 생식기에 염증이 야기된 질환, 예를 들어 자궁내막염, 난관염, 난소 주위염 또는 난소 농양 등이나 그로 인한 골반 내 복막염 등을 총칭합니다. 이 질환의 중요성은 급성 질환으로 인한 모든 증상뿐 아니라, 난관 인자의 불임증 및 만성 골반염, 만성 골반통 등과 같은 장기적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진단 및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골반 내 염증성 .. 2022. 5. 11.
[변비]의 메커니즘 변비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 변비는 변 이동이 기능적으로 장애를 받아서 일어나는 '기능성 변비'와 물리적으로 장애를 받아서 일어나는 '기질적 변비', 그리고 기타 질환 때문에 2차적으로 일어나는 변비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기능성 변비 기능성 변비는 더 세분화해서 결장의 운동 감퇴에 의한 변비(이완성 변비), 결장 경련에 의한 변통과 장애(경성 변비), 변의 저하에 의한 변비(직장성 변비)로 나누어집니다. 이완성 변비는 결장 운동이 저하되고 변이 결장 내에 정체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수분이 과잉 흡수되어서 변이 굳어집니다. 장관 운동이 저하되는 원인에는 식사량이나 섬유소 성분이 적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잔사가 적으면 장관벽에 대한 물리적인 자극이 저하되고, 장관은 확장되지 않기 .. 2022. 5. 9.
[자궁근종]자궁의 양성 종양 얼마 전 기사를 보았는데, 우리나라에 자궁근종의 환자 수가 부쩍 증가했으며, 연령별로는 40대 환자가 가장 많다는 조사과 나왔다고 적혀있었습니다. 그래서 자궁근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이번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평활근 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 또는 평활 근종으로 불리는 것이 바로 자궁근종입니다. 전공책에는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라고 나와있습니다. 1. 원인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난소의 기능이 완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고, 초경 이전이나 폐경이 이후에는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에스트로겐에 의존한다고 생각됩니다. 2. 분류 발생 위치에 따라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점막하근.. 2022. 4. 14.
[방광염]에 관하여 방광염의 증상과 관리방법 1. 정의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는 방광벽의 염증으로 흔히 요로 감염을 의미합니다. 무균성 혹은 간질성 방광염은 감염이 없는 방광점막의 염증입니다. 남성은 요도가 길고 전립샘액의 항균성 때문에 50세 이전에는 방광염이 잘 걸리지 않으나, 여성의 25%이상에서 요로감염이나 방광염을 경험합니다. 요로 감염은 치료 후에도 재발이 잘 되며, 약 20%에서 빈번한 재발을 호소합니다. 2. 원인 E-coli, enterobacter, pseudomonas, serratia등이 가장 흔한 원인균입니다. 이런 병원균은 위장관의 상주균들로서 항문과 요도구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비뇨기 감염을 쉽게 일으킬 수 밖에 없습니다. 여성 요로감염의 90%는 E-coli가 원인균이며, 칸디다도 방.. 2022.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