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
변비는 변 이동이 기능적으로 장애를 받아서 일어나는 '기능성 변비'와 물리적으로 장애를 받아서 일어나는 '기질적 변비', 그리고 기타 질환 때문에 2차적으로 일어나는 변비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기능성 변비
기능성 변비는 더 세분화해서 결장의 운동 감퇴에 의한 변비(이완성 변비), 결장 경련에 의한 변통과 장애(경성 변비), 변의 저하에 의한 변비(직장성 변비)로 나누어집니다.
이완성 변비는 결장 운동이 저하되고 변이 결장 내에 정체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수분이 과잉 흡수되어서 변이 굳어집니다. 장관 운동이 저하되는 원인에는 식사량이나 섬유소 성분이 적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잔사가 적으면 장관벽에 대한 물리적인 자극이 저하되고, 장관은 확장되지 않기 때문에 혈류가 저하되어 더욱 장관의 운동이 나빠지게 됩니다.
배변에 관한 근력(복근, 횡문근, 골반저근육근 등)의 가령에 따른 저하도 변비의 원인이 됩니다. 긴장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교감신경이 우위가 된 경우도 연동운동은 억제되어서 변비가 됩니다.
결장이 경련하면 변은 장관을 이동하기 어려워지고 수분 흡수량이 증가해서 굳어집니다. 경련 정도에 따라 변의 성상은 다르고, 변비뿐만 아니라 설사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됨)
습관적으로 변의를 참고 있으면 직장벽이 변에 의해 확장되었다는 자극이 올바르게 인식되기 어려워져 변비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섭취한 수분이 적고 탈수가 생긴 경우나 과식 등으로 내용물이 증가하거나 고체화해서 통과 장애가 일어난 경우도 변비가 됩니다.
2. 기질적 변비
암이나 장폐색 등으로 장관의 통과가 저해되어 일어납니다. 또한 신경계 이상에 의한 배변 반사 장애나 변의의 지각장애, 그리고 뇌혈관장애나 파킨슨병 등 신경질환으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납니다.
3. 2차적 변비
당뇨병 신경장애의 결과, 대장기능 저하가 일어나는 변비가 되기 쉽습니다. 갑상선 기증 저하증도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해서 장의 연동운동이 억제되고 변비가 됩니다.
악성 종양이 있으면 파골세포 활성 인자의 방출로 파골세포가 활성화되어 뼈 흡수가 증가해 고칼슘 혈증이 일어납니다. 혈액 속 칼슘 이온이 증가해 세포 내의 막 전위가 커지고, 신경은 흥분하기 어려워지기 대문에 장활근의 운동이 저하되고 변비가 발현되게 됩니다. 고칼슘혈증으로는 다뇨, 구역, 식욕부진 등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도 장관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해 고칼슘혈증이 일어납니다. 교원병이나 우울증 등에 의해서도 2차적으로 변비가 일어납니다.
임신에 의해서도 변비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임신에 따른 식사내용이나 양 변화 운동량 저하, 황체 호르몬 우위가 되어서 위, 장관의 평활근 긴장 저하와 연동운동 억제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4. 부작용에 의한 변비

약의 부작용으로 변비가 일어나는 메커니즘도 사진의 a~i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은 교감신경이 우위가 되어 장의 연동운동이 억제되어서 일어나는 변비(d)입니다. 장관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기 때문에 교감 신경이 자극을 받거나 또는 부교감 신경이 억제되면 변비가 일어납니다.
변비가 자주 일어나는 약으로는 항콜린제나 도파민 효능제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항파킨슨 병약, 삼환계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항간질제, 항히스타민제, 디소피라미드(상품명 Rythmodan 등)등입니다. OTC 약으로는 멀미약, 종합 감기약, 진해제, 위장약 등에도 항히스타민제가 배합되어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관 점막에 대한 자극 저하(a)에 의해 변비가 일어나는 것으로는 경장 영양제를 들 수 있습니다. 잔사가 적기 때문에 장애 대한 자극이 적어 변비가 일어납니다.
변비를 일으키는 항암제로서는 빈크리스틴황산염, 빈데신황산염, 빈플라스틴황산염,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등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장관을 제어하는 자율신경의 미소관도 상해하기 때문에 장관의 운동 억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암환자는 운동 부족이나 식사량 감소 등 환자가 변비의 위험인자를 여러 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변비가 발현되기 쉽습니다.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 > 비뇨생식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반 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0) | 2022.05.11 |
---|---|
[자궁근종]자궁의 양성 종양 (0) | 2022.04.14 |
[방광염]에 관하여 (0) | 2022.03.24 |
[요로결석]에 관하여 (0) | 2022.03.16 |
[요실금]에 관하여 (0) | 2022.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