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생식기는 여성에게 중요한 장기이며 외부 자극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관리 및 질병에 대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에 산후관리 및 임신과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과 자가 간호를 통해 골반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1. 정의
골반 내 염증성 질환은 박테리아 혹은 드물게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자궁경 상부의 생식기에 염증이 야기된 질환, 예를 들어 자궁내막염, 난관염, 난소 주위염 또는 난소 농양 등이나 그로 인한 골반 내 복막염 등을 총칭합니다. 이 질환의 중요성은 급성 질환으로 인한 모든 증상뿐 아니라, 난관 인자의 불임증 및 만성 골반염, 만성 골반통 등과 같은 장기적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진단 및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골반 내 염증성 질환과 관련된 후유증
- 난관 인자의 불임증
- 자궁 외 임신
- 만성 하복부 동통
- 재발성 골반 감염
2. 감염에 대한 방어 인자
1) 해부학적 인자
호흡기나 소화기 내의 점막 조직처럼 생식기의 점막에도 비특이적이고 비면역성의 인자가 세균의 침입에 중요한 장벽 역할을 합니다. 그 예로는 vaginal seretion, cervical mucus, endometrial seretion, oviductal fluid 등이 있습니다.
질 분비물은 완전성을 유지하면서 탐식 세포와 함께 병원성 세균의 질내 침입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경관 점액은 젤 형태로 이루어져있고, 세포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세균의 상행 감염을 막아주는 기계적 장치가 될 뿐 아니라, 경관 점액에 있는 단백질 성분인 lactoferrin은 항균 작용이 있어서 자궁내막으로의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자궁 내막과 난관 내의 분비물은 자궁 근층과 섬모들의 활동을 증진시켜주고, 상부 생식기에 존재하는 세균과 탈락된 세포들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이 분비물 내부에 존재하는 lactoferrin과 lysosome의 효소화 작용으로 인해 세균을 죽일 수도 있습니다.
2) 면역한적 인자
다른 모든 점막구조가 외부 환경에 대하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면역학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과 동일하게 생식기의 점막에도 독립적인 면역학적 방어장치가 존재합니다. 내자궁경과 자궁에는 상피 하층에 여러 림프조직과 임파구가 존재하며, 기저막과 고유층에 면역 글로불린은 IgA가 존재합니다. 그 외, 여러 보체들이 존재하여 생리적 과정을 통해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정상 균주에 의한 방어 인자
질과 자궁경부에는 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호기성 똔ㄴ 혐기성 균이 정상 균주로서 존재하며 임균이나 클라미디아 균은 이러한 정상 균주에 의하여 성장에 장애를 받게 됩니다.
3. 증상
주요 증상으로는 대부분 골반 주의에 통증이 있으며 이는 주로 양쪽 하복부에 나타납니다. 그 부위를 자신의 손으로 누를 때 더욱 통증이 심해지면 가까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더욱 진행되면 복부의 근육이 경직되고, 복부 팽만 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들은 소위 복막염의 초기 증세와도 비슷합니다. 그 밖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오심과 구토가 나타나고, 고열, 자궁출혈, 배뇨통 등이 있으며, 맥박이 빨라지고, 백혈구가 증가되는 등의 감염과 관련된 일반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복막염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해집니다. 일반적으로 고열과 함께 백혈구가 20,000개/ml 이상이거나, 전체 복부의 팽만감과 통증이 있고, 청진상에서 장음이 들리지 않는다면 복막염을 생각해야 합니다.
골반염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증상은 부부 관계 시 통증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자궁 내막증 등 자궁 주위를 기타 질환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때는 대부분 어느 정도 있던 증상이 서서히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골반염의 경우에는 갑자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이 다릅니다. 부부 관계 시의 통증은 상당히 중요한 증상이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할 시 진단에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항을 스스럼없이 이야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치료
1) 외래치료(통원치료)
우선 '자궁내피임장치'를 하였을 경우에는 우선 그 장치를 제거하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입원이 아닌 통원치료의 조건은 우선 체온이 38도 이하이면서 백혈구의 증가가 심하지 않고, 신체 조건이 양호하면서 장음도 잘 들리는 경우에 한합니다.
2) 입원 치료
외래치료에서 호전이 없다면 입원 치료를 해야 합니다. 입원시는 우선 안정이 필요하고, 적절한 수액,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에 모두 효과 있는 항생제 및 소염진통제 등을 주사하는 내과적 치료를 우선 시행합니다. 이러한 주사요법은 환자의 고열이 사라진 후 48시간까지 시행하여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그 균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그 골반염의 원인이 된 균을 배양할 때 그 균에 가장 효과 있는 항생제가 무엇인가 하는 검사도 같이 하게 되므로 항생제의 선택이 용이합니다. 또 최근에 생산되는 항생제는 그 효과들이 우수하기 때문에 과거보다 치료기간 또한 단축되고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
개복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간호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골반염이 만성으로 진행되어 농양을 만드는 경우인데 골반 내시경 및 배농술로 해결이 안될 경우에는 필히 개복을 하여 수술적 처치로서 그 고름 주머니를 제거한 후에 알맞은 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난관, 난소, 또는 자궁 전체를 제거해야 할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4) 항생제 치료
골반염 치료의 세가지 목표는 감염 치료, 증상의 완화 및 합병증 예방에 초점을 맞춥니다. 골반염 치료는 임질균과 클라미디아균을 포함한 기타 세균에 광범위 항균력을 지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임질균이나 클라미디아균에 의한 난관의 감염상태는 각종 호기성 및 혐기성 균에 의한 복합 감염의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미국 CDC의 치료 원칙은 골반염 환자의 치료에 광범위 항균력이 미칠 수 있도록 2가지 항생제의 복합 처방을 권장하고 있으며 단독 요법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입원 시의 또 다른 처방으로는 정맥주사를 세포시틴 또는 세포테탄+경구 또는 정맥 주사용 독시사이클린을 복합투여하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퇴원 후에는 경구용 독시사이클린만을 약 10~14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외래 치료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세폭시틴 또는 세트리악손을 근육주사하면서 경구용 독시사이클린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 > 비뇨생식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의 메커니즘 (0) | 2022.05.09 |
---|---|
[자궁근종]자궁의 양성 종양 (0) | 2022.04.14 |
[방광염]에 관하여 (0) | 2022.03.24 |
[요로결석]에 관하여 (0) | 2022.03.16 |
[요실금]에 관하여 (0) | 2022.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