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 방법ㄱ~ㄷ/근골격계

[수근관 증후군]증상과 간호방법

by Ameliajang 2022. 5. 6.
반응형

수근관증후군(손목굴증후군, carpal tunnerl syndrome)은 손목의 정중신경에 압박이 가해지는 가장 흔한 신경성 질환입니다. 정상적으로 손목 관절을 굴곡할 때 횡수근 인대 때문에 정중신경이 압박받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심해지면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원인과 발생 요인

주로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종인 컴퓨터 사용자, 손가락과 손목을 많이 쓰는 근로자, 계속적으로 망치를 사용하는 사람 등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한 골절 치료 시 불유합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비만, 당뇨, 갑상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률이 높습니다. 특히 30~60세의 여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임신 말기나 폐경 시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증상과 징후

정상적으로 수근관으로는 9개의 굴곡건과 정중신경이 지납니다 압박이나 염증 상태가 심하지 않을 때에는 엄지, 검지와 중지의 외측 1/2에 감각 변화가 나타납니다. 손을 흔들거나 손가락을 마사지하면 증상이 약해집니다. 통증을 주로 밤에 더욱 심해지고 팔로 퍼지며 섬세한 움직임이 어려워집니다. 점차 근육이 허약해지고 손에 힘이 없어 엄지손가락의 외전이 약해지므로 불건 잡기가 힘들어지게 됩니다.

 

3 진단검사

진단 검사는 Tinel징후, Phalen징후와 손목 압박 검사가 있으며 확진을 위해 근전도 검사를 행합니다 Tinel징후는 팔목의 정중신경 부위를 가볍게 타진하면 정상인은 무반응이나 수근관증후군에서는 세 개 반 정도의 손가락에 저린감(tingling sense)이 생깁니다. Phalen징후는 팔목을 20~30초간 힘 있게 굴곡시키면 양성인 경우 팔목 부위가 무감각해지고 얼얼해집니다. 

 

손목 압박 검사는 팔목의 굴근 표면에 30초간 손으로 압박을 가했을 때 감각이상(paresthesia)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단합니다.

4. 간호방법

통증, 말초혈관장애, 손의 기동장애, 자존감 저하 등의 간호 문제에 대한 간호를 시행합니다.

  • 손목 안정을 위해 손목 부목으로 손목 굴곡 운동을 제한합니다 이 부목은 손목의 굴곡 방지를 위해 밤에도 적용합니다
  • 통증 관리를 위해 냉요법을 적용하고 진통제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환부에 주입합니다. 
  • 심하면 외과적으로 횡수근 인대를 절단하는 수근관 해리술(carpal tunnel release)을 시행합니다.
  • 부종이 있는 환자는 이뇨제와 저염식이를 권장하고 피리독신(비타민 B6)을 줍니다.
  • 합병증으로 근육 허약과 위축 및 건의 파열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경 혈관계 기능을 세심하게 관찰합니다.
  • 환자 교육 시 질병의 과정에 대한 설명과 부목 사용법, 적절한 손목 자세, 휴식, 약물 복용 및 수근관 해리술 후 가정간호 등에 대하여 교육합니다.

5. 수근관 해리술 후의 간호 지침

  • 손의 냉감이나 부종 상태 등의 순환상태를 확인합니다.
  • 발열, 수술 부위의 통증 증가, 드레싱 부위의 악취 등 감염 징후를 관찰합니다.
  • 발사 혹은 수술 후 7~14일간 부목을 대고 있도록 합니다.
  • 수술 부위에 발사할 때까지 물이 닿지 않도록 합니다.
  • 환측 팔을 상승시키고 부목을 대어서 부동을 유지하는 한편, 손가락의 굴곡 및 신전 운동은 매시간 행하도록 합니다.
  • 수술 후 약 2개월 간은 물건 들어 올리기 등의 자세를 금합니다.

5.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수문사

건강사정, 정담 미디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