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발목을 다친 적이 있는데,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해서 지금까지 발목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난주에 다시 병원에 방문하여 엑스레이를 찍어봤는데 상태가 이렇더군요.
저기 노란 동그라미 친 곳에 작은 뼈가 있는데 저 뼈 때문에 발목의 안정성이 떨어져서 제가 발을 쉽게 다친다고 의사 선생님이 설명해주셨습니다. 예전에 다른 병원에 방문했을 때에는 의사 선생님이 어렸을 적 부러진 뼈가 제대로 안 붙어서 저렇게 된 거라고 설명한 적도 있었고요. 결론적으로 저 뼈 때문에 제가 발목을 자주 다치는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목 염좌에 대해서 알아보고 재활 운동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 예정입니다.
1. 염좌
인대나 인접 조직이 과하게 늘어나서 심한 압통을 동반하는 것을 염좌(sprain)라고 합니다. 염좌의 종류는 경증, 중정도, 중증, 골절동반 염좌로 구분됩니다.
경증 염좌는 몇 개의 인대 조직이 파열되는 것이나 인대 기능의 상실은 없습니다. 중정도 염좌는 인대의 일부가 파열되어 부분적으로 기능이 상실되며, 더 이상의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중증 염좌는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염좌 된 환부를 촉진하면 통증을 느끼는데, 처음에는 아픈 부위가 뚜렷하나 점점 통증 범위가 넓어지게 됩니다. 손상 직후에는 부종, 통증, 변색, 운동 및 기능 장애가 심하지 않으나 2~3시간 후부터 점차 심해집니다. 염좌가 발생한 즉시 손상 부위를 올려주고 냉요법을 시행해야 됩니다. 또한 부목이나 석고 붕대로 손상부위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합니다. 인대는 4~6주가 지나야 치유되므로 3~4주간 지속적으로 부동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완전히 치유된 후에는 재손상을 예방하고 치료적인 운동을 시작합니다.
염좌가 잘 발생되는 부위는 발목과 경추입니다. 특히 자동차가 급정거할 때 차내에서 부딪치는 경우에 경추부 염좌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목 고정장치로 목을 고정해야 합니다.
2. 발목 염좌
흔히 '발목을 삐었다', '접질렸다'라고 말하는 현상의 정식 명칭은 발목 염좌입니다. 발목의 뼈가 순간적으로 제자리를 이탈하면서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3. 발목 염좌 급성기의 통증 완화시키는 5가지 방법
- 보호 : 부목이나 테이핑, 탄력붕대 등으로 발목을 고정하여 추가 손상을 방지합니다.
- 안정 : 목발을 사용하여 다친 발을 보호하고 운동과 다른 활동을 중지합니다.
- 얼음찜질 : 염좌 후 2~3일 이내는 얼음찜질로 부기를 가라앉힙니다. 이후 발목 상태에 따라서 온찜질을 해 줍니다.
- 압박 : 탄력붕대로 압박하여 부기가 가라앉도록 합니다.
- 다리 올리기 : 휴식이나 잘 때 다리를 심장보다 높이 올려 부기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합니다.
4. 발목 염좌의 손상 단계
- 1도 손상 : 인대가 늘어났음에도 움직임에는 불편함이 없는 상태로 발목의 붓기와 염증 증상이 나타납니다. 냉찜질과 붕대 압박으로도 충분한 호전이 가능합니다.
- 2도 손상 : 인대 일부가 파열되고 발목에 멍이 생기기도 하고 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발목을 고정해 인대 파열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제대로 치료하고 재활하지 않으면 재발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 3도 손상 :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어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하고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수술 후에도 재활치료를 안 할 경우 관절염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5. 발목 재활운동
(1) 1단계 - 발목 스트레칭(발목 관절 운동 범위 회복)
1) 벽에 대고 발목 굽히기
바로 누 위서 벽에 발을 대고 위에서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부드럽게 발목을 구부립니다. 이때 뒤꿈치가 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통증 없는 범위까지 구부린 후 1분간 유지하고 3회 반복합니다.
2) 타월 스트레칭
수건으로 발바닥을 감싸고 부드럽게 몸 쪽으로 당겨줍니다. 종아리 근육이 당겨지는 것을 느끼며 15초 정도 유지하고 3회 반복합니다.
(2) 2단계 - 발목 근력운동(발목 주변 근육의 강화)
1) 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
고무밴드를 이용하여 발등 쪽 굽히기, 발바닥 쪽 굽히기, 발 바깥쪽 밀기, 발안 쪽 당기기를 해줍니다. 15회씩 3번 반복합니다.
2) 뒤꿈치 들어 올리기
두 발로 서서 뒤꿈치를 들어 올립니다. 15회씩 3회 반복합니다. 동작이 익숙해지면 한 발로 서서 뒤꿈치를 들어 올리기를 해 줍니다.
'질병 별 간호 방법ㄱ~ㄷ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전근개 손상] 원인과 증상 그리고 진단검사 (0) | 2022.05.26 |
---|---|
[손목골절]콜레스 골절(Colle’s Fracture) (0) | 2022.05.10 |
[수근관 증후군]증상과 간호방법 (0) | 2022.05.06 |
[골관절염]원인과 증상, 그리고 간호방법 (0) | 2022.05.04 |
[통풍]에 관하여 (0) | 2022.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