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오늘 정리할 것은 직업병 중 열에 의한 장애입니다.
열중증
1. 개념
높은 기온과 낮은 기온의 환경에서 심한 노동이나 강한 복사열이 인체에 작용할 경우 또는 열 방출이 적은 조건에서 심한 근육 노동을 할 경우에 발생하는 급격한 신체적 장애를 총칭합니다. 2. 대책
- 작업 시 고온 작업의 허용 기준인 직장 온도가 38.3도, 심박수가 125회/분을 넘지 않도록 해야 되며, 단시간 노출 시에는 직장 온도가 38.9도, 심박수 160~170회/분을 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복사열 절연을 위해 보온재를 사용하거나 차단을 위한 차단판을 사용하여 발생원에서의 열을 제어해야 됩니다.
- 국소 환기와 전체 환기를 배려합니다. 특히 급기 식 환기가 유효합니다.
- 작업의 자동화와 기계화로 근육 작업을 경감시켜야 됩니다.
- 근무시간 단축, 작업 제한, 휴식 시간의 적정화, 교대제 등의 대책으로 근무 제도를 합리화시킵니다.
- 고혈압증, 소화성 궤양, 심질환, 내분비 질환, 신염 등 금기 질환의 취업을 제한합니다.
1) 열사병/일사병(Heat Stroke)
- 원인 : 체온 조절 중추 기능 자애로 체내에 열이 축적되고 뇌막 혈관의 충혈과 뇌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땀의 증발에 의한 체온 방출에 장애가 온 상태)
- 증상 : 땀을 흘리지 못해 고열(41~43도), 두통, 혼수상태, 피부 건조
- 치료
- 치료를 안 하면 100% 사망하며, 치료를 해도 체온이 43도 이상일 때는 약 80%, 43도 이하일 때는 40%의 치명률을 나타냅니다.
- 체온 하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얼음물에 담가서 체온을 39도까지 내려주어야 하며, 이와 같은 조치가 불가능할 경우 찬물로 닦으면서 선풍기를 이용해서 증발 냉각을 시도해야 합니다.
- 울열 방지와 체열 이동을 돕기 위해 사지를 중심에서 말단으로 격렬하게 마찰시킵니다.
- 호흡 곤란 시 산소를 공급합니다.
- 체열의 생산 억제를 위해 항 신진 대사제를 투여합니다.
2) 열경련(Heat Cramp)
- 원인 : 고온 환경에서 심한 육체적 노동을 할 때, 지나친 발한에 의한 탈수와 염분 소실이 원인입니다.
- 증상 : 수의근의 통증성 경련이 특징이고, 전구증상으로는 현기증, 이명, 두통, 구역, 구토, 그러나 체온은 정상입니다.
- 치료
-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대상자를 눕히고, 작업복을 벗겨 전도와 복사에 의한 체열 방출을 촉진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지나친 발한이 없도록 합니다.
- 생리 식염수를 공급(1~2리터)하거나, 0.1% 식염수를 마시게 합니다.
3) 열피로(Heat Exhaustion, 열피비, 열허탈증)
- 원인 : 고온 환경에 오래 폭로되어 말초 혈관 운동 신경의 조절 장애와 심박출량의 부족으로 인한 순환 부전, 특히 대뇌피질의 혈류랑 부족이 주원인입니다. (미숙련공에게 많이 발생함)
- 증상 : 이완기 혈압의 하강이 현저합니다. 전구증상으로는 전신의 권태감, 탈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치료
- 시원한 환경에서 휴식을 시키고 탈수가 심하면 5% 포도당 용액을 정맥 주사합니다.
- 더운 커피를 마시게 하거나 강심제를 써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열쇠약(heat Prostration)
- 원인 : 고열에 의한 만성 체력소모를 말합니다.
- 증상 : 전신 권태, 식욕 부진, 위장 장애, 불면, 빈혈, 몸이 점차로 수척해집니다.
- 치료 : 영양 공급, 휴양 등이 필요합니다.
'질병 별 간호 방법ㄱ~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과적 출혈]산후출혈(postpartum hemorrhage) (0) | 2022.04.16 |
---|---|
[자간전증]임신 중독증 (0) | 2022.04.15 |
[경련]의 원인 (0) | 2022.04.07 |
[구내염]의 메커니즘 (0) | 2022.04.06 |
두통의 메커니즘 (0) | 2022.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