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 방법ㄱ~ㄷ

[구내염]의 메커니즘

by Ameliajang 2022. 4. 6.
반응형

구강 점막에 생기는 짓무름, 궤양, 수포, 종기 형성 등을 포함한 질환을 구내염이라고 합니다.  전신의 다른 세포가 상해를 받는 원인과 구강 점막 세포가 상해를 받는 원인이 같고 감염, 순환장애, 물리적 요인, 화학적 요인, 과잉/이상 면역반응, 영양장애 등이 있습니다. 염증은 생체의 방위 방응인데, 세포가 상해를 받으면 그 상해를 제거하거나 확대를 막거니 복원하기 위해 일어납니다. 상해가 제거되지 않으면 염증이 지속적, 병적 염증이 되어 조직이 파괴되거나 조직 변성을 일으키게 됩니다. 

 

구내염의 원인

 

1. 감염

타액에는 항균, 살균 작용 기능이 있고, 구강애를 청결하게 하거나 점막을 보호해서 손상을 막는 역할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타액의 분비가 감소하거나 구강 청소 불량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정체되면 상재균의 밸런스가 무너지고 상재균이 치주 조직의 포켓 상피에 결합조직으로 침입해 구내염이나 치주염을 일으키게 될 수도 있고 전신 감염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에서는 반 이상이 구강 건조 증상을 느끼고 있고 점막 손상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에 있습니다. 이 경우의 구내염은 '카탈성 구내염'이라고 불리는 점막의 발적, 경도의 백색 변화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입이 헐었다'라고 하는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2. 순환장애

순환장애는 세포가 상해는 받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구강 점막의 세포는 다른 세포와 마찬가지로 혈관을 통해서 적혈구에서 산소와 영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혈류가 끊기면 즉시 상해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흡연에 의한 구내염은 니코틴이 구강점막의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면 부족이나 스트레스가 쌓이면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하여 혈관 수축으로 인한 혈류 부족 때문에 구내염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3. 물리적 요인

압력이나 열, 방사선, 자외선 등에 의한 상해에 의해서도 일어나는데 예를 들어 구강 내를 깨물거나 뜨거운 것을 마시거나 먹었을 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의치가 맞지 않거나 치아 치료에 사용하는 보충제에 의한 자극으로도 구내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화학적 요인

산성이나 알칼리성이 입안에 들어간 경우나 독물, 다른 생성물이 만드는 독소, 자유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물질이 구강 내에 들어가도 구내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과잉/이상 면역반응

면역계 이상으로 자기 면역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야기되면 자기 세포나 조직이 파괴되어 염증이 발생됩니다. 또한 자기 면역 질환인 천포창이나 유천포창, 베체트병, 크론병 등의 부분 증상으로도 구내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구내염이 초발 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원반모양 홍반 루푸스에서는 구개에 발진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6. 영양장애

비타민B2가 결핍되면 구내염이나 구각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점막의 신진대사 불량이 일어나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철이나 아연 결핍증으로도 구내염이나 구위염, 구각염이 일어납니다. 철 결핍성 빈혈은 영양장애에 더해서 상재균의 밸런스가 무너져 구내염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부작용에 의한 구내염

순환장애와 물리적 요인은 약의 부작용에 의한 구내염의 메커니즘이 되기 어렵지만 나머지는 가능합니다.

출처 : 알기쉬운 약물 부작용 메커니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