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 간호는 기형과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가 간호를 포함한 일상생활 활동 교육 및 사외적 지지를 위한 간호를 하며 적절한 추후 간호와 가정 간호를 통해 장애인들이 신체적, 심리사화적으로 적응하도록 지도하고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욕창 간호
압력에 의해서 주로 골격이 튀어나온 부분의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피부 상처와 함께 그 밑에 있는 조직에 과사가 일어나는 것을 욕창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욕창의 발생 원인은 압력, 마찰력, 응전력 등 3가지의 물리적 힘이며, 이 중 2가지 이상의 힘이 작용하여 욕창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여 요인은 습기, 불량한 영양상태, 불결한 위생상태, 부동, 운동마비, 근육 위축, 빈혈, 연령, 감염 등이 있습니다.
욕창은 체중을 지탱하는 뼈 돌출 부위와 피하지방이 적은 부위에 발생하는데 호발 부위는 75%가 천골, 대전자, 좌골 조면에서 발생하며 그다음으로 무릎, 복사뼈, 팔꿈치, 발뒤꿈치 등입니다. 앙와위(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후두골, 견갑골, 추골, 천골, 좌골 조면에, 복와위(엎드린 자세)에서는 장골능, 상전장골극, 슬개골에, 측위(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대퇴골조면, 팔꿈치, 경골 조면, 비두골, 외/내측 복사뼈, 대전자 등에서 발생되기 쉽습니다.
욕창의 감염으로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전신적 패혈증이 유발되는데 간호방법으로는 욕창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하고, 조직에 대한 압력 감소, 피부관리, 적절한 수분과 영양 섭취 등이 적용됩니다. 신체 선열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야 되고, 체위를 변경할 때 마찰력과 응전력을 피하기 위해 잡아끌지 않으며, 마비된 부분은 통증이나 압박에 무감각하므로 부딪히거나, 마찰되거나, 뜨거운 물이 닿지 않도록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의자나 휠체어에 있는 동안은 쿠션을 이용하고 15분 간격으로 몸을 자주 들어 올려 체중을 이동시키며, 압력 감소 및 제거를 위하여 압력 변환 침대, 물침대, 양털 침대, 공기 침대 등을 사용합니다. 보조기를 가진 환자는 보조기가 너무 꽉 끼거나 피부를 압박하거나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지 관찰하고 가능하면 스스로 활동하고 기동 하도록 격려합니다.
2. 배뇨 간호
재활 환자들이 경험하는 배뇨 문제는 배뇨장애, 신경인성 방광, 요실금입니다. 배뇨장애는 소변의 저장이나 배출 또는 두 가지 기능 모두에 지장이 있는 상태이고, 신경인성 방광은 배뇨 관련 신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배뇨 문제이고, 요실금은 수의적으로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배뇨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요실금은 비뇨기계 감염, 배뇨근의 불안정성, 방광 배출구 폐쇄 또는 부전증, 신경학적 결손, 방광 경련이나 경축 등 배뇨 관련 기관의 문제 및 배뇨 의지와 정신 기능 등의 문제로 초래 가능합니다. 요실금이 있는 환자를 간호하기 위해서는 요실금의 유형, 구체적인 배뇨 상태, 배뇨 관련 일상생활기능 정도, 인지 기능 등을 파악하고 진단검사 결과를 확인한 후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3. 배변 간호
배변 훈련의 목적은 규칙적인 배변 습관으로 변실금, 분변 매복, 불규칙한 배변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간호 계획을 세우기 위해 장 배설, 대변의 특성, 음식과 수분 섭취, 활동 수준, 장음, 투약, 다른 관찰 자료와 기록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합니다. 배변하는 동안 프라이버시가 지켜져야 하며 신체적 활동과 운동이 연동운동과 배변에 도움이 되므로 활동을 격려하고, 배변 내용물이 하부 결장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복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질변 초기에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중요합니다. 식이는 섬유소가 풍부한 채고, 과일, 곡류를 섭취하고 1일 1회 식사하기 30분 전에 자두주스나 키위주스 등 과일 주스를 약 120mL 정도를 마시도록 합니다.
'질병 별 간호방법 ㅌ~ㅎ > 재활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간호]목발 보행 훈련 (0) | 2022.05.04 |
---|---|
[이동보조기구]목발, 지팡이, 휠체어 (0) | 2022.04.10 |
[재활간호] (0) | 2022.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