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재활의 정의와 목적
1) 정의 : 질병의 재통합 혹은 질병/손상/재해로부터의 회복을 말합니다. 또한, 손상으로 발생한 기능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을 말합니다.
2) 목적 : 근력과 관절 기능 유지, 순환 증진, 지구력 증진, 근 이완 증진, 기형 예방, 구체적이 욕구 표출, 자신의 기능을 최대한 활성화, 자기 효능 성취 등이 있습니다.
2. 재활의 원리
- 재활치료 대상자는 스스로 삶의 목표와 요구, 문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재활 치료 과정에서 대상자는 스스로 문제를 결정하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대상자가 필요한 것을 미리 알아내어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재활이라 합니다.
- 가능성을 지향하기 위해서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을 둡니다.
3. 재활 간호
1) 관절 구축 예방
좋은 신체 선열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합병증 예방과 기형 예방을 위한 기능적 체위를 취합니다. 또한, 관절 가동범위 운동(ROM)을 시행합니다.
- 근골격계 구축 예방을 위해서 실시하는데, 각 관절마다 매일 3번 실시(1회, 5번 반복)합니다.
- ROM시행 시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거나 관절 강직, 움직이기 어렵다고 느끼면 무리하게 운동시키지 않습니다.
2) ROM운동의 종류
- 수동적 운동 : 대상자 스스로 운동할 수 없을 때 치료자가 운동시켜 주는 것으로 관절의 운동 범위 크게 유지하고 순환 위해 시행합니다.
- 능동적 운동 : 대상자 스스로 운동, 정상적 근력 유지가 목적이고 돌아눕거나 서거나 앉는 것을 포함합니다.
3) 근력 증진 목적에 따른 운동
- 등척성 운동(isometric Ex.) : 근섬유 길이는 변하지 않고 근육의 장력이 발생하는 운동으로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근육의 강도만 강하게 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벽을 밀거나 철봉 오래 버티기 등이 있습니다.
- 등장성 운동(isotonic Ex.) : 근섬유의 수축에 따라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턱걸이, 역기 들기 등이 있습니다.
- 등속성 운동(sonkinetic Ex.) : 가해지는 힘과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각도와 속도로 움직이며 장동 기계 장치를 활용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CPM관리가 여기에 속합니다.
4. 물리치료
열, 물, 광선, 운동, 전기, 초단파 등의 물리적 요소를 이용하여 병변 치료 및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치료 방법입니다.
1) 열 요법
- 목적 : 관절 경직 및 통증의 완호, 근경련 감소, 혈류 증가
- 금기 대상 : 급성 염증, 외상, 출혈, 무감각한 부위(화상 위험), 동맥 부전, 허혈, 악성 종양, 심맥관 질환, 호흡 질환, 신부적, 노인과 유아
2) 냉요법
- 목적 : 혈관 수축, 혈류 감소, 국소적 신진대사 저하, 진통 및 항염증 효과, 발열 억제, 화상, 근육 경련의 억제
- 금기 대상 : 혈관 부전, 냉과민증 또는 불인내성, 노인과 유아, 감각 저하 부위
3) 마사지
- 목적 : 국소적 혈액 순환 증진, 정맥 귀환 증진, 관절 부종 감소, 근이완 증진, 피로도 감소
- 금기 대상 : 급성 염증, 혈전성 정맥염, 악성 종양, 화농성 피부염
5. 목발 보행
- 목발 사용 전 근육 강화 운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손목/손바닥으로 체중을 지지해야 하고, 액와에 체중 부하를 절대 금합니다. 그 이유는 액와 신경총을 압박하여 목발 마비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팔꿈치를 20~30도 굴곡 상태로 사용해야 되고, 액와에 닿는 부위에 솜이나 고무를 적용합니다. 또한 굽 낮은 편한 신발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 계단을 내려갈 때는 목발과 환측이 먼저 내려가고 그 후 건강한 다리를 내립니다.
- 계단을 올라갈 때는 건강한 다리가 먼저 올라가고, 그 후 목발과 환측을 올립니다.

반응형
'질병 별 간호방법 ㅌ~ㅎ > 재활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간호]목발 보행 훈련 (0) | 2022.05.04 |
---|---|
[재활간호방법]욕창, 배뇨, 배변 간호 (0) | 2022.04.25 |
[이동보조기구]목발, 지팡이, 휠체어 (0) | 2022.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