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수혈2

[수혈] 부작용과 처치 방법 수혈 부작용과 처치 방법 1. 수혈 부작용 ① 용혈성 수혈 부작용 원인 증상 치료/예방 급성 용혈반응 (acute hemolytic) ABO 부적합수혈, 전혈 또는 적혈구 포함한 혈액제제 투여, 수혜자 혈장 항체가 공여된 적혈구 항원에 부착해 적혈구 파괴유도 발열, 오한, 안면홍조, 요통, 빈맥, 빈호흡, 저혈압, 혈관허탈, 혈색소뇨, 급성황달, 진한소변, 출혈, 급성심부전, 쇼크, 심정지 혈액과 소변검체물 채취로 검사의뢰, 교질성욕액을 투여해 혈압을 유지하고 소변양 확보위해 이뇨제 투여, 유치도뇨관 삽입 또는 배뇨량을 관찰해 시간당 소변양 측정하고 신부전시 투석, 수혈에 앞서 혈액백 라벨에 기록과 환자기록을 반드시 대조 발열반응 (febrile) 공여된 혈액의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질에 대한 과민반.. 2022. 3. 23.
[수혈]의 목적과 종류, 그리고 간호 방법 수혈 1. 수혈 목적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고 부족한 응고 인자 또한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합니다. - 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함으로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킨다. 2. 종류 종류 성분 적응증 Whole blood Fresh W/B (전혈) - 세포성분과 혈장성분 포함 - 1단위:400ml - 다량의 혈액상실 - 저혈량성 쇼크 (실혈량과 산소운반능력 보충목적) - 추가: 출혈로 25%이상의 혈액량이 소실되었을 때, 24시간 내에 혈색소가 3g/dl이상 감소되었을 때 Packed RBC (농축 적혈구) - 전혈로부터 혈장을 제거 - 1단위:250~300ml - 증상이 있는 심한 빈혈 - 급성 실혈상태 PRP(PC) (농축 혈소판) - 채혈 후 4시간 .. 2022.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