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수혈

[수혈] 부작용과 처치 방법

by Ameliajang 2022. 3. 23.
반응형

수혈 부작용과 처치 방법

1. 수혈 부작용


① 용혈성 수혈 부작용

원인 증상 치료/예방
급성 용혈반응 (acute hemolytic)
ABO 부적합수혈, 전혈 또는 적혈구 포함한 혈액제제 투여, 수혜자 혈장 항체가 공여된 적혈구 항원에 부착해 적혈구 파괴유도 발열, 오한, 안면홍조, 요통, 빈맥, 빈호흡, 저혈압, 혈관허탈, 혈색소뇨, 급성황달, 진한소변, 출혈, 급성심부전, 쇼크, 심정지 혈액과 소변검체물 채취로 검사의뢰, 교질성욕액을 투여해 혈압을 유지하고 소변양 확보위해 이뇨제 투여, 유치도뇨관 삽입 또는 배뇨량을 관찰해 시간당 소변양 측정하고 신부전시 투석, 수혈에 앞서 혈액백 라벨에 기록과 환자기록을 반드시 대조
발열반응 (febrile)
공여된 혈액의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질에 대한 과민반응 갑작스런 발열, 오한, 두통, 홍조, 불안, 근육통 처방에 따라 해열제 투여, 의사의 처방 없이 수혈 재개 금지, 2~3회 이상의 부작용에 대한 기왕력이 있으면 백혈구제거 혈액사용



② 비용혈성 수혈 부작용

원인 증상 치료/예방
알러지 반응(allergic
공여된 혈액의 혈장단백 과민성, lgA 항체가 형성된 lgA 결핍자에게 lgA 단백성분 투여 (경증) 안면홍조, 소양감, 담마진
(중증) 소양감, 천명음, 청색증, 아나필락틱 쇼크, 심정지
처방에 의해 항히스타민제 투여, 증상이 경하고 일시적이면 속도를 줄여 주입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나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수혈 재개 금지, 심할시 수혈 중단, epinephrine투여, 응급시 심폐소생술, 수혈 10~15분전 항히스타민제투여, 혈장성분이 완전 제거된 세척 적혈구 투여, lgA 결필자의 혈액이나 자가수혈 권장
순환성과부담(circulatory overload)
순환능력을 초과할 정도의 빠른 혈액 주입 기침, 호흡곤란, 폐수종, 두통, 고혈압, 빈맥, 경정맥 울혈 앉은 자세를 취함, 처방에 의해 이뇨제나 morphine 투여하고 산소공급, 필요시 정맥절개술이나 순환지혈대 적용으로 심장으로 가는 혈량부담 감소, 혈액을 보다 적은 량으로 나눠 준비해 주입된 양이 적절하게 순환 되도록 함, 순환장애 위험 환자는 전혈보다 농축적혈구의 주입을 고려


③ 수혈 전파성 감염

원인 증상 치료/예방
폐혈증 반응(sepsis)
박테리아에 감염된 혈액제제나 수혈기구 사용 갑작스런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심한 저혈압, 쇼크 혈액이 담긴 혈액백과 튜브는 혈액은행으로 보냄, 처방에 의해 항생제, 수액요법, 혈관수축제 등을 투여,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시 수혈중단, 혈액은행에 규정에 의해 혈액을 채취, 관리, 수혈. 수혈 전 준비된 혈액제제에 공기거품이나 응고물, 색깔 변화가 있는지 관찰 4시간 이내에 수혈을 끝냄

※대표적인 수혈전파성 질환들
- 바이러스 : A형 간염,형간염 B형 간염,형간염 C형 간염,형간염,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엡스타인_바 감염, 사람 T-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 기생충 : 말라리아, 톡소플라즈마증톡소플라스마증, 바베아시증, 샤가스병
- 세균 : 매독, 브루셀라증, 라임병

2. 부작용 시 처치

ㆍ공급 즉시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연결합니다.
ㆍvital sign check를 하고 airway유지, 산소투여합니다.
ㆍ혈액확인(ABO,혈액등록번호), 환자 이름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ㆍsampling : blood, urine, Foley cath 삽입합니다. (혈액이 담겨있던 팩은 버리지 않습니다.)
ㆍBun, Creatine, 검은 소변(Hb 깨진(Hb 증거) , PT, PTT, tjadbthdnjs, PLT, FDP 확인합니다.
ㆍDr Notify 후 항히스타민제 투약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