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수혈

[수혈]의 목적과 종류, 그리고 간호 방법

by Ameliajang 2022. 3. 22.
반응형

수혈

1. 수혈 목적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해주고 부족한 응고 인자 또한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합니다.
- 혈액의 결핍 성분을 보충함으로써, 빈혈이 있는 환자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킨다.

2. 종류

종류 성분 적응증
Whole blood
Fresh W/B
(전혈)
- 세포성분과 혈장성분 포함
- 1단위:400ml
- 다량의 혈액상실
- 저혈량성 쇼크 (실혈량과 산소운반능력 보충목적)
- 추가: 출혈로 25%이상의 혈액량이 소실되었을 때, 24시간 내에 혈색소가 3g/dl이상 감소되었을 때
Packed RBC
(농축 적혈구)
- 전혈로부터 혈장을 제거
- 1단위:250~300ml
- 증상이 있는 심한 빈혈
- 급성 실혈상태
PRP(PC)
(농축 혈소판)
- 채혈 후 4시간 이내
- 신선 전혈로 얻음
- 1단위:30~60ml
- 혈소판감소증이나 비정상적인 혈소판기능으로 인한 출혈
platelet<10000~20000/
Fresh frozen
plasma(FFP)
(신선동결혈장)
- 채혈 후 4시간 이내 전혈에서 혈장부분을 분리하여 6시간이내 동결시켜서 얻음
- 1단위:200~250ml
- 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출혈
(예: DIC, 출혈, 대량 수혈 등)
Albumin
(알부민)
- 생리식염수에 알부민을 적절하게 혼합한 성분제제 - 열상 및 신증후군처럼 알부민의 손실이 많은 환자
- 알부민의 합성이 저하된 환자
- 출혈성 쇼크환자
cryoprecipitate
(냉동동결침전물)
- 응고인자 Ⅷ, Ⅻ
- fibrinogen
- fibronectin
- 1단위: 10~20ml
- 고전혈우병, DIC 등

 

3. 수혈 전 검사

- 혈액형 검사(ABO)
- RH 검사(+/-)
- 교차시험(cross matching)

 

 

4. 수혈 간호


▶수혈 전 간호
- 환자를 개방형으로 확인한 후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환자의 혈액형, 과거 수혈 경험 및 부작용 유무 확인합니다.
- 혈액은행에서 혈액이 준비되었다는 연락이 오면 환자의 체온을 측정해 체온이 37.5℃이상 시 의사에게 알리고 수혈 여부를 결정하고, 정상범위의 체온일 경우에는 혈액과 함께 혈액형과 검사인이 기재된 수혈 기록부, 수혈용 스티커, 수혈 set 수령합니다.
- 혈액은 1 unit씩 타오고 혈액이 다 들어가기 전에 혈액은행에 연락해 다음 혈액을 준비해야 되는데, FFT와 PC는 처방된 혈액 모두를 함께 수령할 수 있고 FFT는 미리 해동 후 타 와야 합니다.
- 혈액이 오면 2인의 간호사가 혈액백 전면과 후면에 붙어 있는 라벨과 수혈용 스티커를 대조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혈액 도착일, 시간을 기록하고 서명해야 됩니다.
: 확인내용 -등록번호, 환자명, 혈액형, 혈액 번호, 채혈 일자, 유효일자, WORKSHEET에 혈액형과 혈액 번호 기록
- 수혈을 준비하는 간호사는 수혈 직전 환자의 이름, 혈액형, 혈액 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수별 백의 투여인 란에 서명합니다. 이러한 더블체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 손을 씻고 혈액과 수혈 SET를 준비 후 환자에게 혈액형 확인 후 I.V pole에 혈액을 걸고 수혈 Set의 filter가 잠기도록 혈액을 채운 후 통과시켜 공기를 빼서 준비합니다.

▶수혈 중 간호
- 수혈은 20G 이상 needle로 시작하고 수혈 전 처방된 항히스타민제를 주사합니다.
- 차가운 혈액 주입은 심근조직의 부전을 유발할 수 있고, 높은 온도의 혈액은 적혈구의 용혈, 단백질의 변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blood warmer로 적정 온도를 유지해 수혈해야 됩니다.
- 수혈 첫 15분 동안 혈액을 15 gtt/분으로 주입하며 오심, 구토, 발적, 오한, 핍뇨, 혈뇨, 요통 등의 부작용 여부를 관찰해 부작용이 없으면 처방대로 주입하고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혈액 주입을 멈추고 의사에게 보고한 후 투여 여부 결정합니다.

▶수혈 후 간호
- 수혈을 시작하면 수혈 기록부에 일시, 혈액명, 혈액 번호, 혈액 주입을 시작한 시간, V/S과 항히스타민 투여 여부, filter 사용 여부를 기록해야 됩니다.
: 수혈용 스티커는 빈 종이에 붙여 의무 기록지 검사 결과지 부분에 삽입합니다.
- 15분 후 V/S을 측정해 수혈 기록부에 기록하고 수혈 후 이상 유무에 대해 간호기록지에 기록. 수혈을 끝나면 끝난 시간 또한 기록합니다.

▶수혈 시 주의사항
- 세트 내의 filter 능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혈 전용 세트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 수혈 도중 부작용 등으로 중단 시 교차시험용지를 반드시 끼워 냉장 보관하고, 24시간 내 재수혈이 시행되지 않으면 혈액은행으로 보내 폐기합니다.
- 수혈한 혈액에 교차시험용지를 반드시 끼운 채 수혈하고, 혈 후 교차시험용지 차트 보관합니다.
- 신선 냉동(동결) 혈장을 수혈하다가 중단하는 경우 실온에서 보관합니다.
- 수혈 시작 시 삼투압의 차이로 인한 용혈현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혈 세트에 다른 용액을 넣어 준비하지 않습니다.
- 적혈구 한 단위의 투여 속도는 성인은 4시간을 초과하면 안 되고 소아는 2~5ml/kg/hr 속도로 투여하고 plasma와 혈소판은 정해진 규정은 없으나 다른 혈액 주입 속도에 준합니다.
- 생리식염수만이 혈액성분제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5% 알부민이나 신성 동결혈장이 가능하고 다른 정맥주입이나 약물을 함께 투여하면 안 됩니다.

 
반응형

'질병 별 간호방법 ㄹ~ㅅ > 수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혈] 부작용과 처치 방법  (0) 2022.03.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