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별 간호 방법ㄱ~ㄷ35

[갑상선암]원인과 검사방법 및 치료법 우리 몸 중의 가장 큰 내분비 기관인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며, 전반적인 신진대사를 담당하는 많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이 병적으로 저하되거나 증진될 때, 종양 등으로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 암의 경우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원발성이고, 남성보다는 40대 이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호발 합니다. 여성에 있어서 4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비교적 임상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암 중의 하나입니다. 비록 암 종이긴 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했을 경우에 예후가 양호한 편입니다 수술한 이후에도 관리와 약물 요법, 식이조절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1. 갑상선 암 1) 원인 방사선 : 어릴 떄 양성질환(예, 여드름, 편도선염)으로 목에 방사.. 2022. 5. 12.
[손목골절]콜레스 골절(Colle’s Fracture) 1. 부상기전 손바닥을 짚고 넘어졌을 때에 일어나는 골절이며 요골 원위부 골절 중에서 90%에 달하는 정도로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 원위 요골은 구조상 피질골이 얇고 안의 뼈는 해면골로 벌집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특히 노인에서는 골다공증이 동반되어 이 구조가 매우 약해지기 때문에 이곳에 골절이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그리고 골절이 분쇄되기 쉽고 뼈 자체가 찌그러지기도 하므로 골절을 맞추기가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2. 호발 연령 노인에서 흔히 보는 골절의 하나. 골다공증이 반발하는 중년기 이후 여자에게 주로 볼 수 있습니다. 3. 증상 손목부위 통증 호소. 손목부위에 붓고 멍이 들어 있으면서 손을 전혀 쓸 수 없습니다. 간혹 손목에서 신경이 눌려 손저림(수근관 증후군)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원위부 골편은 .. 2022. 5. 10.
[발목 염좌]정의와 재활운동 어렸을 때, 발목을 다친 적이 있는데,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해서 지금까지 발목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난주에 다시 병원에 방문하여 엑스레이를 찍어봤는데 상태가 이렇더군요. 저기 노란 동그라미 친 곳에 작은 뼈가 있는데 저 뼈 때문에 발목의 안정성이 떨어져서 제가 발을 쉽게 다친다고 의사 선생님이 설명해주셨습니다. 예전에 다른 병원에 방문했을 때에는 의사 선생님이 어렸을 적 부러진 뼈가 제대로 안 붙어서 저렇게 된 거라고 설명한 적도 있었고요. 결론적으로 저 뼈 때문에 제가 발목을 자주 다치는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발목 염좌에 대해서 알아보고 재활 운동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볼 예정입니다. 1. 염좌 인대나 인접 조직이 과하게 늘어나서 심한 압통을 동반하는 것을 염좌(sprain)라고 합.. 2022. 5. 8.
[수근관 증후군]증상과 간호방법 수근관증후군(손목굴증후군, carpal tunnerl syndrome)은 손목의 정중신경에 압박이 가해지는 가장 흔한 신경성 질환입니다. 정상적으로 손목 관절을 굴곡할 때 횡수근 인대 때문에 정중신경이 압박받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심해지면 손목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원인과 발생 요인 주로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종인 컴퓨터 사용자, 손가락과 손목을 많이 쓰는 근로자, 계속적으로 망치를 사용하는 사람 등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또한 골절 치료 시 불유합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비만, 당뇨, 갑상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률이 높습니다. 특히 30~60세의 여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임신 말기나 폐경 시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증상과 징후 정상적으로 수근관으로는 9개의 굴곡건과.. 2022. 5. 6.